실수형 상수는 정밀도에 따라 float와 double로 나뉜다. 표준 C에서와 같이 실수형 상수의 묵시적인 형은 double이다. 그러나 float 형으로 만들고자 할 때는 접미어로 f(또는 F)를 붙인다.
RealConstant.java----------------------------------------------------------------------------
class RealConsta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loat f1 =1.414F, f2=0.1414e01f;
double d=0.1414E1;
System.out.println("f1 = " + f1 + ", f2= " + f2 + ", d= "+d);
if (f1 == f2) System.out.println("Yes");
else System.out.println("No");
if (f2 == d) System.out.println("Yes");
else System.out.println("No");
}
}
---------------------------------------------------------------------------------------------[첨부파일]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어휘구조와 자료형 - 스트링 리터럴 (0) | 2012.05.13 |
---|---|
5. 어휘구조와 자료형 (논리형) (0) | 2012.05.12 |
3. 어휘구조와 자료형 - 리터럴 (정수형) (0) | 2012.05.11 |
2. 어휘구조와 자료형 - 토큰 (0) | 2012.05.11 |
1. HelloWorld.java (입문하기) (0) | 201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