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터럴이란 자신의 표기법이 곧 자신의 값이 되는 상수를 의미한다. (리터럴 상수)
예를 들어, "12"라고 표기하면 값이 12인 정수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1. 정수형 상수]
자바에서 정수형 상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표준 C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진법에 따라 10진수, 8진수, 16진수로 분류된다.
10진수 : 15, 255, 25463
8진수 : 017, 0377, 017767
16진수 : 0xf, 0xff, 0xffff (16진수에서 사용하는 a~f는 보통 슈퍼 숫자(super digit)라고 부르며 각각 10부터 15 까지 해당한다.)
2. IntegerConstant.java-----------------------------------------------------------------------
class IntergerConsta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255, o=0377, h= 0Xff;
long 1 = 0XffL;
System.out.println("i = " + i + ", o= " + o + " , h= " + h);
if (h==1) System.out.println("Yes");
else System.out.println("No");
}
}
---------------------------------------------------------------------------------------------[첨부파일]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어휘구조와 자료형 - 스트링 리터럴 (0) | 2012.05.13 |
---|---|
5. 어휘구조와 자료형 (논리형) (0) | 2012.05.12 |
4. 어휘구조와 자료형 (실수형) (0) | 2012.05.12 |
2. 어휘구조와 자료형 - 토큰 (0) | 2012.05.11 |
1. HelloWorld.java (입문하기) (0) | 201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