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상 관리의 이해
색상이 다르게 표현되는 이유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캔 이미지의 소스에 따라 구분 1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표현 가능한 색상 공간으로 구분 2
인쇄 대상에 따라 구분 3
모니터 제조사와 모니터 수명에 따른 변수가 존재 4
렌더링, 절대 색도계, 상대 색도계 등으로 색 관리 5
렌더링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모델[장면(Scene) 파일]로 부터 영상을 만들어내는 과정
공식적으로 점화, 색상 관리 모듈의 문제 해결
ICC 사양은 네 가지 렌더링 의도
상대 색도계
상대 색도는 미디어만 수정하여 지정된 색상의 정확한 표현
색상과 밝기가 감소 채도의 비용으로 유지 관리 방식
상대 색도계는 시스템에서 기본 렌더링 의도
색상 프로파일 정보 분석
색상관리 시스템의 프로파일 종류
모니터 프로파일
• 모니터가 색상을 재현하는 방법 정의
입력 장치 프로파일
• 입력 장치가 캡쳐 하거나 스캔 할 수 있는 색상 정의
출력 장치 프로파일
• 출력 장치의 색상 공간 정의
파일 프로파일
• 파일에 정의한 특정 RGB 또는 CMYK 색상 영역 정의
RGB 컬러 모드
컴퓨터그래픽에서 표현 가능한 색 체계는 RGB, CMYK, Gray Scale, Lab
화면용 색상이 RGB와 인쇄용 색상인 CMYK가 가장 일반적인 색 표현 방법
RGB에 의해 색은 빛의 3원색인 Red, Green, Blue의 3가지 색상으로 구성
3가지 색상을 혼합하면 할수록 명도가 높아져서 세 가지 색상이 모두 혼합하면 흰색
RGB 방식은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또는 인쇄 매체는 빛을 이용한 표시 장치
CMYK 컬러 모드
탁상 출판을 포함한 다양한 인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색 표시 모델
하나로 Cyan, Magenta, Yellow, Black의 4가지 색상 구성
4가지 색상을 혼합하면 할수록 명도가 낮아지고, 네 가지 색상이 모두 혼합하면 검은 회색
RGB를 기준으로 작업한 결과물을 CMYK로 변경하면 원본 이미지의 색상이 다르게 표현
전문가들은 컬러 칩을 이용하여 직접 비교해 가면서 수치 입력
색상 설정 및 교정
RGB와 CMYK 색상
RGB와 CMYK 색상 모드가 표준 색상 모델
표시가 정확한 색상 범위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유동적인 변경 및 적용
이미지를 Photoshop에서 열면 이미지의 색상 공간의 색상
기본 색상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기본 색상 설정 값에 의한 작업 공간으로 변환
색상 교정(Soft Proof)
RGB모드에서 교정 인쇄 설정을 통해 이미지를 변경하지 않고 인쇄
다른 모드로 변환한 효과를 모니터 화면에서 시뮬레이션
화면 교정 인쇄 기능을 설정한 후 저해상도 인쇄 설정 수행
이미지에 사용한 색상이 특정 프린트에서 어떻게 보이는지를 모니터 상에서 검토 과정의 색상 교정(Soft Proof)
색조 범위 조정
색조 범위 조정 및 이미지의 색상 보정
색상 및 색조 조정 시 유의 사항
• 프로파일을 만든 모니터를 사용하여 조정
• 색상과 톤을 조정하기 전에 이미지의 얼룩과 스크래치 결함, 먼저 제거
• 이미지 톤과 색상을 조정할 때 이미지 정보가 유실될 수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결정
• 원본은 백업한 후 복사본 이미지 편집
• 최대 이미지 정보를 담고 있으려면 16bit 채널의 이미지 사용
'컴퓨터그래픽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장면에 설치된 물체에 조명과 카메라(8-3) (0) | 2017.05.31 |
---|---|
15. 컴퓨터그래픽과 인쇄 관리(5-3) (0) | 2017.05.17 |
13. 컴퓨터그래픽과 파일 포맷(5-1) (0) | 2017.05.17 |
12. 컴퓨터그래픽 저작권(4-3) (0) | 2017.05.12 |
11. 컴퓨터그래픽 프로젝트(4-2)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