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래프의 표현방법
그래프의 표현방법
(1) 인접행렬(adjacency matrix)
(2) 인접리스트 (adjacency list)
임의의 연결선 (u, v)∈E에 대하여 u와 v를 서로 인접했다(adjacent)라고 하고, 정점 u와 v를 연
결선 e의 끝점(end point)이라고 한다. 또 정점 u가 연결선 e의 끝점이면 e는 u에 접했다
(incident, 또는 부속)라고 한다.
2) 인접리스트(adjacency list)
. 그래프의 한 정점에서 연결되어 있는 정점들을 하나의 연결리스트로 표현하는 방법
. 인접행렬의 n행들의 값을 n개의 연결 리스트로 나타낸다.
. 인접리스트 방식은 각 정점에 인접한 정점들을 순서와 상관 없이 일일이 열거하는 것이다.
. 인접리스트로 나타낼 때 헤드(head)에서 출발한 각 정점은 적어도 두 개의 필드를 갖는다.
. 필드의 구성
. 시작 정점 : 헤드(head)
. 첫 번째 필드 : 정점(vertex)
. 두 번째 필드 : 링크(link)필드
3) 정규 그래프
정의3
그래프 G의 모든 정점들이 같은 차수를 갖는다면 G를 정규그래프(regular graph)라고 한다. 이
때 차수가 k값을 가지면 k-정규그래프라고 한다.
. 정규 그래프(regular graph)
. 그래프 G 의 모든 정점들이 같은 차수를 갖는 경우
. K-정규 그래프(regular graph)
. 차수가 k인 정규그래프
'이산수학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그래프의 탐색(10-2) (0) | 2017.06.26 |
---|---|
19. 특수형태의 그래프와 그래프의 응용(10-1) (0) | 2017.06.26 |
17. 그래프의 기본개념과 용어(9-1) (3) | 2017.06.15 |
16. 행렬식(8-2) (0) | 2017.06.01 |
15. 행렬과 행렬의 연산(8-1) (0) | 201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