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기본개념과 성질
1. 함수의 기본 개념
. 함수(function)
. 관계(relation)의 특수한 형태로서 첫번쨰 원소가 같지 않은 순서쌍들의 집합
. 즉, 한 집합의 원소들과 다른 집합의 원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순서쌍 중에서, 앞에 있는
집합의 모든 원소가 한 번씩만 순서쌍에 포함될 경우를 의미
. 예
. 교수가 학점을 매길 때 시험 본 점수에 따라 어떤 법칙을 이용하여 학점을 준다고 하면, 그
법칙은 점수와 학점간의 대응관계를 정의하는 함수가 된다.
. 이산수학을 수강하는 학생을 하나의 집합이라 하고, 학점을 또 다른 집합이라 할 때, 모든 학
생들은 각 개인별로 하나의 학점을 가지게 되므로 이것은 함수가 된다.
함수(function)
. 공집합이 아닌 두 개의 집합 X, Y 가 있을 때 집합 X 로부터 집합 Y 로의 함수 f는 집합 X의
각각의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를 단 하나씩만 대응시킨 것
. 집합 X 로부터 집합 Y 로의 함수 f
. f : X→Y 로 나타냄
.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사상(mapping)
. 집합 X 는 함수 f 의 정의역(domain): dom(f )
. 집합 Y 는 함수 f 의 공변역(codomain, 공역): codom(f )
. 함수의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다이어그램은 <그림 1>과 같다.
. 두 함수 f와 g가 같은 정의역과 공변역을 가지고, 정의역에 있는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g(x)가 성립하면, 함수f와 g는 서로 같다(equal)라고 하고 f=g로 표기한다.
'이산수학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설계(6-1) (0) | 2017.05.30 |
---|---|
12. 여러가지 함수(6-2) (0) | 2017.05.30 |
10. 부분순서관계(5-2) (0) | 2017.05.22 |
9. 동치관계(5-1) (0) | 2017.05.22 |
8. 관계의 성질(4-2) (0) | 2017.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