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형리스트(linear list)의 개념
기억장소에 각 원소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리스트 시작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위치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노드에 접근 가능 한 구조
리스트 구성의 예
선형리스트에서의 노드의 삽입
리스트에 노드 25를 삽입
n개의 원소로 구성된 선형 리스트에서 임의의 원소를 삽입하기 위한 평균 이동 횟수
선형리스트에서의 노드의 삭제
2. 선형리스트(linear list)의 연산
리스트에서 처리 할 수 있는 연산
길이(length) : 리스트의 길이
접근(access) : 리스트의 내용을 조사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위치를 찾는다.
검색(search) : 리스트의 노드들 중에서 필요한 노드( i번째 원소)를 찾는다.(1 ≤i ≤ n)
저장(store) : i번째에 새로운 원소를 저장한다.(1 ≤ i ≤ n)
삽입(insert) : 리스트에 새로운 노드의 첨가(i번째 새로운 원소를 삽입한다. (1 ≤ i ≤ n))
i, i+1, ..., n의 인덱스 값을 가지고 있던 원소들을 i+1, i+2, ..., n+1의 인덱스 값을 갖는다.
삭제(delete) : 리스트에서 노드의 제거( i번째 원소를 삭제한다.( 1 ≤ i ≤ n))
i+1, i+2, ..., n의 인덱스 값을 가지고 있던 원소들을 i, i+1, ..., n-1의 인덱스 값을 갖는다.
복사(copy) : 리스트의 전체 혹은 일부를 복사하여 새로운 노드를 만든다.
정렬(sort) : 어떤 기준으로 리스트를 정렬(오름차순, 내림차순)시킨다.
병합(merge) : 둘 또는 그 이상의 리스트를 하나의 리스트로 만든다.
분리(split) : 한 리스트를 둘 또는 그 이상의 리스트들로 나눈다.
'자료구조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원형 연결리스트와 다중 연결리스트(6-2) (0) | 2017.05.30 |
---|---|
11. 연결리스트(6-1) (0) | 2017.05.24 |
9. 큐(5-1) (0) | 2017.05.17 |
8. 스택(4-2) (0) | 2017.05.12 |
7. 배열(4-1)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