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참고자료2017. 6. 10. 22:40

튜링 테스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튜링 테스트의 표준 해석.

튜링 테스트(Turing test)는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고자 하는 테스트로, 앨런 튜링이 1950년에 제안했다.

앨런 튜링은 1950년에 철학 저널 Mind 에 발표한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에서, 기계가 지능적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조건을 언급했다.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는 긍정적이라고 답변하면서,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가?"라는 핵심 질문에 대해 그는 "컴퓨터로부터의 반응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는 생각(사고, thinking)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만일 지성 있는 사람이 관찰하여 기계가 진짜 인간처럼 보이게 하는 데 성공한다면 확실히 그것은 지능적이라고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검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만족시키지만 일부 철학자들은 여전히 납득하지 못한다. 튜링 테스트 중 관찰하는 사람과 기계는 텔레타이프로 상호교류하는데, 이때 기계는 아직 사람의 외모와 목소리를 완전히 흉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기계는 관찰하는 사람에게 자기가 인간이라고 설득함으로써 인간을 속이려 시도하는 셈이다.

뢰브너 상[편집]

1990년에 휴 뢰브너(Hugh Loebner)는 케임브리지 행동 연구 센터(The Cambridge Center for Behavioral Studies)와 공동으로 튜링 테스트를 구현하는 대회와 뢰브너 상을 만들었다. 그러면서 그는 인간과 구별할 수 없는 반응을 보이는 최초의 컴퓨터에 대해 10만 달러의 상금과 금메달을 약속했다. 다만, 매년 가장 인간에 가까운 컴퓨터에는 2천 달러와 동메달이 수여된다. 매년 우승은 절대적으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상관없이 다른 컴퓨터에 비해 가장 인간에 가까운 컴퓨터가 차지한다. 지금까지의 수상자는 조지프 와인트라우브, 토머스 훼일런, 제이슨 허친스, 로비 가너, 리처드 월리스 등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바깥 고리[편집]


'인공지능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ALINE  (0) 2017.06.10
Rationally thinking system  (0) 2017.06.10
Rationally Agent(이성적 에이전트)  (0) 2017.06.10
인지과학  (0) 2017.06.10
퍼지 논리  (0) 2017.06.10
Posted by 멜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