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사/국사2016. 1. 28. 10:00

[1] 고대사회의 형성

1. 고대의 세계

1) 동양의 고대

1. 중국 : 황하문명 -> 은 '갑골문자' -> 주 '봉건제도' ->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출현' -> 진 '최초의 통일제국' -> 한 '유학의 관학화' -> 위, 진, 남북조 시대 '문벌귀족사회' -> 수 '과거제 실시' -> 당 '동아시아 문화 주도'

2. 인도 : 아리아인 '브라만교, 카스트제' -> 마우리아 왕조 '소승불교' -> 쿠샨왕조 '대승불교' -> 굽타왕조 ' 힌두교'

3. 오리엔트 :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 아시리아 통일 -> 페르시아 '강력한 전제국가' ->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 '헬레니즘 문화'

4. 동부 지중해 연안 : 헤브라이인 '유대교', 아라비아 반도 '이슬람교'

2) 서양의 고대

1. 그리스 문화 : 폴리스 중심의 자유시민 문화 발달(아테네, 스파르타)

2. 헬레니즘 문화 : 그리스 문화 + 오리엔트 문화 융합 -> 세계동포주의, 개인주의

3. 로마 문화 : 실용적, 현실적


2. 한국의 고대 사회

1) 고대사회의 형성

1. 발달과정

군장국가 

연맹왕국 

중앙집권국가 

군장(제정일치)이 지배 

국왕 출현(지방분권적) 

왕권강화(증앙집권적) 

2. 중앙집권적 국가(고구려-백제-신라)의 성격

-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성장

- 왕위의 세습 -> 왕권강화 -> 중앙정치조직 정비(족장->중앙귀족), 지방행정조직 정비

- 율령의 반포

* 지배체제의 정비

* 정치, 신분제도 마련

- 불교의 수용 -> 사상의 통일

- 정복활동 -> 영역국가로 발전


2) 고대국가들의 성립

고구려

부여의 유이민 + 압록강 유역 토착민 -> 태조왕(2C, 옥저 정복, 고씨에 의한 왕위의 독점적 세습) 

백제 

북방의 유이민 + 한강 유역 토착민 -> 마한의 소국, 온조(도읍->하남 위례성) ->고이왕(3C, 한 군현과 항쟁, 집권적 관제(6좌평-> 정비, 관리의 복색 제정) 

신라 

북방의 유이민 + 한강 동남부 유역 토착민 -> 사로국, 박혁거세(경주) -> 6부족 연맹체(이사금 선출) -> 내물왕(4C, 김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 확립, 마립간 칭호, 호우명 그릇) 

가야연맹 

유이민 세력(해안) + 낙동강 하류 유역(변한)의 토착민 -> 금관가야(2C, 김해) 주축 -> 대가야(5C, 고령) 주축으로 세력의 재편성->삼국의 각축 속에서 신라로 병합 


Posted by 멜데스
독학사/국사2016. 1. 28. 09:48

[1] 선사문화의 전

1. 인류의 출현

-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300만 년 전)

- 호모 하빌리스(약 200만 년 전)

- 호모 에렉투스(불사용, 사냥, 채집)

- 호모 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매장풍습)

-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약 4만 년 전, 현생인류) : 크로마뇽인(유럽의 현생인류, 동굴벽화)


2. 자연환경과 한민족의 형성

1) 자연환경의 변화

1. 빙하기 : 중국대륙과 한반도, 일본열도 연결

2. 간빙기 : 해수면의 상승으로 해안선이 변화되어 현재의 해안선 형성

2) 한민족의 형성

- 약 70만 년 전부터 한반도에 사람이 거주하면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 민족의 근간이 형성됨.


3. 선사시대의 문화

1) 구석기 시대 :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

1. 도구 :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긁개)와 골각기 사용

2. 경제 : 자연(채집) 경제(사냥, 어로, 채집)

3. 주거 :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 바위 그늘

4. 사회 : 가족단위의 무리생활, 이동생활, 평등한 공동체 사회

5. 예술 : 사냥감의 번성을 비는 동물조각이나 그림이 발견됨 -> 주술적 성격

6. 유적지 

- 동굴 : 상원 검은모루동굴, 제천 점말동굴

- 강가 : 공주 석장리, 제원 창내

2) 중석기 시대 : 약 B.C. 1만 년 전부터 잔석기 활용, 활 고안

3) 신석기 시대 : 약 B.C. 8,000년경부터

1. 경제 : 생산 경제(농경생활의 시작)와 원시 수공업 발달, 가축 사육 및 움집생활, 정착생활

- 농경 : 돌괭이 등의 농기구(조, 피 ,수수), 토기(민무늬, 덧무늬, 빗살무늬토기)에 곡식 저장

- 원시수공업 : 가락바퀴, 뼈바늘로 의복, 그물 제조

2. 주거 : 강가, 바닷가 -> 움집(중앙에 화덕이 놓인 원형, 모가 둥근방형)

3. 사회 : 씨족을 기본 구성단위로 한 부족사회(족외혼), 평등사회

4. 종교 : 농경생활 이후 자연의 섭리 생각 ->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영혼, 조상 숭배

5. 예술 : 흙으로 빚어 구운 얼굴 모습, 조개껍데기 가면, 짐승 뼈로 만든 장신구

6. 유적지 : 강가, 해안가(웅기 굴포리, 서울 암사동, 하남 미사동)


[2] 국가의 형성과 문화

1. 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1) 청동기의 보급 : B.C. 10세기경부터 시작 -> 생산 경제의 발달

1. 청동제품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2. 석기 :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3. 토기 :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4. 무덤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

2) 철기의 사용 : B.C. 4세기경부터 사용

1. 철기 : 철 낫, 철 괭이, 철 보습 -> 철제 농기구, 무기 사용 -> 농업 확대

* 청동기 :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 의기화

2. 토기 : 덧띠토기, 붉은 간토기

3. 명도전 : 중국과의 활발한 교역

4. 한자의 사용 : 붓의 발견(다호리)

3) 사회의 발전

1. 경제의 변화 : 밭농사 중심, 저습지에서 벼농사 시작 -> 어로, 사냥의 비중 감소

2. 주거 생활

- 인구 증가로 배산임수의 지형에 취락 형성

- 장방형 움집 -> 지상 가옥화

- 주거용(4~8명)뿐 아니라 공공장소도 존재

3. 사회의 변화 : 생산 경제의 발달]

- 잉여 생산물의 발생 -> 사유재산의 발생 -> 빈부의 차이 발생

- 계급의 발생(평등사회 -> 계급사회)

- 군장의 출현 : 청동기가 일찍 유입된 북부 지역부터 등장(고인돌)

- 선민사상의 발생 : 우세한 부족은 약한 부족을 정복하고 공납 요구

- 남녀역할의 분화 : 남성(전쟁, 농경) 중심의 경제체제 발생

4. 예술의 특징 : 종교와 밀착된 모습을 띰

- 바위그림 : 울주(동물-사냥과 어로의 풍성함 기원), 고령(동심원-태양의 상징, 농경의 풍요 기원)

- 청동제품 : 장식용으로 미의식, 생활모습 표현

- 토우 : 주술적 의미


2. 고조선 건국

1) 고조선 : 청동기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국가

1. 성립 : 군장사회의 통합 -> 단군왕검의 건국

2. 영역 : 요령을 중심으로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 분포

3. 단군의 건국 이야기(단군신화) : 삼국유사 등에 수록

- 선민의식 : 환웅 부족이 하늘의 자손임을 내세워 우월성을 과시

- 토테미즘 : 환웅 부족과 곰 부족의 결합(부족연맹체)

- 농경사회 : '풍백, 우사, 운사'가 '바람, 비, 구름' 주관

- 제정일치의 사회 : 단군왕검, '홍익인간'의 지배이념

- 홍익인간의 건국 이념 : 새로운 사회질서의 성립

4. 사회 : 8조법(한서지리지에 3개 조목만이 전함)

- 생명과 사유재산 중시

- 가부장적인 가족제도 형성(부녀자의 정절 중시)

- 형벌제도 존재(절도죄 -> 노비)

2) 위만의 집권 : 준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됨

1. 사회의 변화

- 철기문화의 본격적 수용 : 농업, 수공업 발달

- 한, 진, 예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성장

2. 고조선의 멸망 : 한의 침입으로 왕검성 함락(B.C. 108)

3. 한 군현의 설치 : 토착민의 반발로 세력 약화 ->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313)


3. 여러 나라의 성장


구분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마한 

진한 

변한 

위치

 만주 소오하강 유역(평야지대)

압록강 유역의 졸본->국내성 

 함경도, 강원도 북부 동해안(해안지대)

 한강 이남(평야지대)

정치

- 5부족 연맹(왕-중앙, 제가 - 사출도)

- 1책 12법 

- 5부족 연맹(왕- 대가 -사자, 조의, 선인)

- 제가 회의

- 1책 12법 

 읍군, 삼로라는 군장이 지배(왕이 없음)

-목지국(마한) : 삼한 전체의 영도세력

- 신지, 견지(대군장), 부례, 읍차(소군장)

경제

- 농경, 목축

- 특산물(말, 주옥, 모피) 

- 토지 척박 : 약탈 경제

- 옥저로부터 공납 

해산물(어물, 소금) 풍부 

방직기술 발달(단궁, 과하마, 반어피) 

- 벼농사 발달(철제기구, 저수지)

- 철의 생산, 화폐(철괴) 사용(변한) 및 수출(낙랑, 일본)

풍습

- 순장

- 점복 

- 데릴사위제(서옥제)

- 조상신 제사

- 점 복 

- 민며느리

- 두벌묻기 

- 족외혼

- 책화 

- 제정분리(천군, 소도 주관)

- 초가지붕의 반움집, 귀틀집

- 두레조직(공동작업)

제천행사 

영고(12월) 

동맹(10월) 

무천(10월) 

수릿날(5월), 계절제(10월)


'독학사 > 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정리 - 3. 고대사회의 발전  (0) 2016.01.28
핵심정리 - 1. 한국사의 바른 이해  (0) 2016.01.28
Posted by 멜데스
독학사/국사2016. 1. 28. 09:17

[1] 역사 학습의 목적


1. 역사의 의미

1) 객관적 의미의 역사

- 역사적 사건 그 자체를 지칭[19C 독일, 랑케(Ranke)]

2) 주관적 의미의 역사

- 역사가가 주관적으로 재구성한 사건의 기록[20C 영국, 카(E.H Carr)]


2. 역사학습의 목적

1) 과거 사실의 정확한 이해

2) 역사적 문제를 인식하여 단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2] 한국사와 세계사

- 세계사와 한국사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이들의 성격은 특수성, 보편성을 띠고 있다.

'독학사 > 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정리 - 3. 고대사회의 발전  (0) 2016.01.28
핵심정리 - 2. 선사문화와 국가의 형성  (0) 2016.01.28
Posted by 멜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