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사문화의 전개
1. 인류의 출현
-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300만 년 전)
- 호모 하빌리스(약 200만 년 전)
- 호모 에렉투스(불사용, 사냥, 채집)
- 호모 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매장풍습)
-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약 4만 년 전, 현생인류) : 크로마뇽인(유럽의 현생인류, 동굴벽화)
2. 자연환경과 한민족의 형성
1) 자연환경의 변화
1. 빙하기 : 중국대륙과 한반도, 일본열도 연결
2. 간빙기 : 해수면의 상승으로 해안선이 변화되어 현재의 해안선 형성
2) 한민족의 형성
- 약 70만 년 전부터 한반도에 사람이 거주하면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 민족의 근간이 형성됨.
3. 선사시대의 문화
1) 구석기 시대 :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
1. 도구 :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긁개)와 골각기 사용
2. 경제 : 자연(채집) 경제(사냥, 어로, 채집)
3. 주거 :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 바위 그늘
4. 사회 : 가족단위의 무리생활, 이동생활, 평등한 공동체 사회
5. 예술 : 사냥감의 번성을 비는 동물조각이나 그림이 발견됨 -> 주술적 성격
6. 유적지
- 동굴 : 상원 검은모루동굴, 제천 점말동굴
- 강가 : 공주 석장리, 제원 창내
2) 중석기 시대 : 약 B.C. 1만 년 전부터 잔석기 활용, 활 고안
3) 신석기 시대 : 약 B.C. 8,000년경부터
1. 경제 : 생산 경제(농경생활의 시작)와 원시 수공업 발달, 가축 사육 및 움집생활, 정착생활
- 농경 : 돌괭이 등의 농기구(조, 피 ,수수), 토기(민무늬, 덧무늬, 빗살무늬토기)에 곡식 저장
- 원시수공업 : 가락바퀴, 뼈바늘로 의복, 그물 제조
2. 주거 : 강가, 바닷가 -> 움집(중앙에 화덕이 놓인 원형, 모가 둥근방형)
3. 사회 : 씨족을 기본 구성단위로 한 부족사회(족외혼), 평등사회
4. 종교 : 농경생활 이후 자연의 섭리 생각 ->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영혼, 조상 숭배
5. 예술 : 흙으로 빚어 구운 얼굴 모습, 조개껍데기 가면, 짐승 뼈로 만든 장신구
6. 유적지 : 강가, 해안가(웅기 굴포리, 서울 암사동, 하남 미사동)
[2] 국가의 형성과 문화
1. 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1) 청동기의 보급 : B.C. 10세기경부터 시작 -> 생산 경제의 발달
1. 청동제품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2. 석기 :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3. 토기 :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4. 무덤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
2) 철기의 사용 : B.C. 4세기경부터 사용
1. 철기 : 철 낫, 철 괭이, 철 보습 -> 철제 농기구, 무기 사용 -> 농업 확대
* 청동기 :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 의기화
2. 토기 : 덧띠토기, 붉은 간토기
3. 명도전 : 중국과의 활발한 교역
4. 한자의 사용 : 붓의 발견(다호리)
3) 사회의 발전
1. 경제의 변화 : 밭농사 중심, 저습지에서 벼농사 시작 -> 어로, 사냥의 비중 감소
2. 주거 생활
- 인구 증가로 배산임수의 지형에 취락 형성
- 장방형 움집 -> 지상 가옥화
- 주거용(4~8명)뿐 아니라 공공장소도 존재
3. 사회의 변화 : 생산 경제의 발달]
- 잉여 생산물의 발생 -> 사유재산의 발생 -> 빈부의 차이 발생
- 계급의 발생(평등사회 -> 계급사회)
- 군장의 출현 : 청동기가 일찍 유입된 북부 지역부터 등장(고인돌)
- 선민사상의 발생 : 우세한 부족은 약한 부족을 정복하고 공납 요구
- 남녀역할의 분화 : 남성(전쟁, 농경) 중심의 경제체제 발생
4. 예술의 특징 : 종교와 밀착된 모습을 띰
- 바위그림 : 울주(동물-사냥과 어로의 풍성함 기원), 고령(동심원-태양의 상징, 농경의 풍요 기원)
- 청동제품 : 장식용으로 미의식, 생활모습 표현
- 토우 : 주술적 의미
2. 고조선 건국
1) 고조선 : 청동기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국가
1. 성립 : 군장사회의 통합 -> 단군왕검의 건국
2. 영역 : 요령을 중심으로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 분포
3. 단군의 건국 이야기(단군신화) : 삼국유사 등에 수록
- 선민의식 : 환웅 부족이 하늘의 자손임을 내세워 우월성을 과시
- 토테미즘 : 환웅 부족과 곰 부족의 결합(부족연맹체)
- 농경사회 : '풍백, 우사, 운사'가 '바람, 비, 구름' 주관
- 제정일치의 사회 : 단군왕검, '홍익인간'의 지배이념
- 홍익인간의 건국 이념 : 새로운 사회질서의 성립
4. 사회 : 8조법(한서지리지에 3개 조목만이 전함)
- 생명과 사유재산 중시
- 가부장적인 가족제도 형성(부녀자의 정절 중시)
- 형벌제도 존재(절도죄 -> 노비)
2) 위만의 집권 : 준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됨
1. 사회의 변화
- 철기문화의 본격적 수용 : 농업, 수공업 발달
- 한, 진, 예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성장
2. 고조선의 멸망 : 한의 침입으로 왕검성 함락(B.C. 108)
3. 한 군현의 설치 : 토착민의 반발로 세력 약화 ->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313)
3. 여러 나라의 성장
구분 |
부여 |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 |
마한 |
진한 |
변한 |
위치 |
만주 소오하강 유역(평야지대) |
압록강 유역의 졸본->국내성 |
함경도, 강원도 북부 동해안(해안지대) |
한강 이남(평야지대) |
정치 |
- 5부족 연맹(왕-중앙, 제가 - 사출도) - 1책 12법 |
- 5부족 연맹(왕- 대가 -사자, 조의, 선인) - 제가 회의 - 1책 12법 |
읍군, 삼로라는 군장이 지배(왕이 없음) |
-목지국(마한) : 삼한 전체의 영도세력 - 신지, 견지(대군장), 부례, 읍차(소군장) |
경제 |
- 농경, 목축 - 특산물(말, 주옥, 모피) |
- 토지 척박 : 약탈 경제 - 옥저로부터 공납 |
해산물(어물, 소금) 풍부 |
방직기술 발달(단궁, 과하마, 반어피) |
- 벼농사 발달(철제기구, 저수지) - 철의 생산, 화폐(철괴) 사용(변한) 및 수출(낙랑, 일본) |
풍습 |
- 순장 - 점복 |
- 데릴사위제(서옥제) - 조상신 제사 - 점 복 |
- 민며느리 - 두벌묻기 |
- 족외혼 - 책화 |
- 제정분리(천군, 소도 주관) - 초가지붕의 반움집, 귀틀집 - 두레조직(공동작업) |
제천행사 |
영고(12월) |
동맹(10월) |
- |
무천(10월) |
수릿날(5월), 계절제(10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