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예절
법치 사회에서의 예절
멜데스
2012. 11. 19. 17:29
예절의 기능
가. 수기(修己)
스스로 사람다워지려는 자기 관리를 말한다. 즉 혼자 하는 예절이다. 수기하는 예절은 자기 안에 있으면서 자기 자신에게 작용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그 때의 본질은 정성스러운 것이다.
나. 치인(治人)
남과 어울려 함께 살며 대인 관계를 영위하는 의사 소통 예절이다. 즉 남에게 하는 예절이다. 치인하는 예절은 자기의 밖으로 나아가 남에게 활용되는 기능을 가지는데 그 때의 본질은 남을 공경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다. 함께하는 예절
모두가 함께 실천하는 예절이다. 조직 생활, 단체 생활, 공중도덕과 같은 예절을 말한다.
자기 관리의 요령은 홀로 있을 때 삼가는 신독(愼獨)이고, 대인 관계의 요령은 남을 편안하게 하는 안인(安人)이다.
정성이란 자기를 속이지 않는 양심(良心)이며, 공경과 사랑이란 어른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인류애(人類愛)이다. 안에 있는 ‘예절의 마음’과 밖으로 나타나는 ‘예절의 언동’이 일치해야 참된 예절이라 할 것이다.